
인터넷 검색기록 지우기 & 자동 저장 차단하기 (개인정보 보호)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때마다 우리가 검색한 단어, 방문한 웹사이트, 입력한 로그인 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된다. 덕분에 자주 방문하는 페이지를 빠르게 열 수 있고, 비밀번호를 매번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지만, 그 이면에는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이 숨어 있다. 특히 공용 컴퓨터나 회사 PC, 또는 가족과 함께 사용하는 기기에서는 이러한 기록이 타인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검색 기록을 통해 어떤 사이트를 이용했는지, 어떤 내용을 검색했는지 모두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자동 로그인이나 폼 자동완성 기능은 악성 프로그램이나 해킹에 의해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다행히도 크롬, 엣지, 사파리, 삼성 인터넷 등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검색기록 삭제 및 자동 저장 차단 기능을 지원한다. 이번 글에서는 각 브라우저별로 검색기록을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과, 앞으로 기록이 남지 않도록 자동저장을 차단하는 설정법을 단계별로 알아본다.
구글 크롬(Chrome) – 검색기록 삭제와 자동 저장 차단
구글 크롬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브라우저답게, 기록 관리 기능이 매우 세밀하게 구성되어 있다. 검색기록을 삭제하려면 먼저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 아이콘을 클릭해 ‘기록(History) → 모든 기록 보기’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Clear browsing data)’를 클릭하면 기간 선택 창이 뜬다. ‘전체 기간(All time)’을 선택하고 ‘방문 기록’,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캐시된 이미지 및 파일’을 체크한 뒤 삭제 버튼을 누르면 된다. 비밀번호나 자동 입력 정보를 함께 지우고 싶다면 ‘고급 설정’ 탭으로 이동해 ‘자동 완성 데이터’와 ‘저장된 비밀번호’를 선택해 삭제할 수 있다. 앞으로 검색기록이 자동으로 저장되지 않게 하려면 **시크릿 모드(Incognito mode)**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단축키 Ctrl + Shift + N을 누르면 시크릿 창이 열리고, 닫는 즉시 검색기록과 쿠키가 모두 사라진다. 또한 크롬 설정에서 ‘자동 완성 → 비밀번호 관리자’를 열고 ‘비밀번호 저장 제안’과 ‘자동 로그인’을 꺼두면, 아이디·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저장되지 않는다. 스마트폰 크롬 앱에서도 동일하게 ‘설정 →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를 통해 모든 데이터를 지울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와 사파리(Safari) – 브라우저별 맞춤 삭제 방법
엣지는 윈도우 기본 브라우저로, 삭제 절차가 크롬과 거의 동일하다. 브라우저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 아이콘을 클릭하고 ‘설정 → 개인정보, 검색 및 서비스(Privacy, search, and services)’로 이동한다. ‘검색 데이터 지우기(Clear browsing data)’ 항목에서 ‘지울 항목 선택’을 누르면 삭제할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검색기록’, ‘쿠키’, ‘캐시’ 등을 모두 선택하고 삭제하면 된다. 자동 저장을 막고 싶다면 ‘프로필 → 비밀번호’ 메뉴로 이동해 ‘자동 저장 제안’을 비활성화하면 된다. 또 하나 유용한 기능은 ‘InPrivate 모드’다. Ctrl + Shift + N으로 열 수 있으며, 브라우징 기록이 전혀 남지 않는다. 맥이나 아이폰 사용자라면 사파리(Safari)에서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맥북의 경우 상단 메뉴 ‘Safari → 기록 지우기(Clear History)’를 클릭하고 ‘전체 기간’을 선택하면 방문 기록과 캐시, 쿠키가 모두 삭제된다. iPhone에서는 ‘설정 → Safari → 방문 기록 및 웹사이트 데이터 지우기’를 눌러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다. 자동저장 차단은 ‘설정 → Safari → 자동 완성(AutoFill)’에서 ‘연락처 정보’, ‘신용카드’, ‘비밀번호’ 항목을 꺼두면 된다. 이 기능을 끄면 로그인 정보가 자동으로 채워지지 않아 보안상 훨씬 안전하다.
모바일 브라우저(삼성 인터넷, 네이버 앱 등)에서 기록 지우기
스마트폰에서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한 개인정보 노출도 많다. 특히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나 네이버 앱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정기적으로 기록을 지워야 한다.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의 경우 하단 메뉴에서 ‘설정 → 개인정보 보호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를 선택하면 된다. ‘방문 기록’, ‘쿠키’, ‘자동 입력 데이터’를 모두 체크하고 삭제하면 깔끔하게 초기화된다. 또한 ‘비밀 모드(Secret Mode)’를 활성화하면 검색기록이 전혀 저장되지 않으며, 암호나 지문으로 잠글 수도 있다. 네이버 앱에서도 ‘설정 → 브라우저 설정 → 방문 기록 삭제’ 메뉴를 통해 기록을 지울 수 있으며, ‘검색 기록 저장 안 함’을 켜두면 자동으로 저장되지 않는다. 구글 앱의 경우 ‘내 활동(My Activity)’ 페이지에서 검색 기록을 개별적으로 삭제하거나 ‘자동 삭제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3개월 또는 18개월 단위로 자동 삭제가 가능해 번거롭게 수동으로 지울 필요가 없다. 마지막으로, 모든 브라우저에는 ‘자동 완성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편리하지만 로그인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공용 PC나 회사 컴퓨터에서는 반드시 꺼두는 것이 안전하다.
개인정보 보호는 ‘삭제’보다 ‘습관’이다
검색기록을 지우는 것은 단기적인 보호지만, 더 중요한 것은 평소의 사용 습관이다. 자동 로그인, 자동 완성, 쿠키 저장을 최소화하고, 시크릿 모드나 비밀 모드를 자주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개인정보 노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검색기록과 쿠키를 정리해주면 브라우저 속도도 빨라지고, 광고 추적도 줄어든다. 특히 공공장소나 회사 PC를 사용할 때는 로그아웃 후 기록을 지우는 습관이 필수다. 인터넷은 편리하지만, 그만큼 흔적이 많이 남는다. 설정 한 번, 클릭 몇 번만으로 내 개인정보를 지킬 수 있다면 지금 바로 실행하는 게 가장 현명한 선택이다.